안녕하세요~투자로 부자되기에 이찌깐입니다.
그동안 수술을 받아서 책은 많이 읽었는데 포트는 정리할 여유가 없어서 2주만에 업로드 합니다. 2주동안 많이 빠졌더군요...
- 한국주식
종목명 | 자산비중(%) | 매입금액 | 평가금액 | 수익율 | 합계 | |
국내주식 | 삼성전자 | 6.61 | 3,529,842 | 3,776,600 | 6.99 | |
국내주식 | 삼성전기 | 2.54 | 1,578,500 | 1,452,000 | - 8.01 | |
국내주식 | 삼성SDI | 3.39 | 1,888,333 | 1,938,000 | 2.63 | |
7,166,600 |
그간 저번주 월요일부터 공매도가 재개돼서 그런지 삼성전기가 많이 빠졌더라구요....삼성전기도 실적이 안나오는 기업은 아니지만 전기자동차 반도체 이슈로 그동안 너무 올라서 공매도의 우려로 많이 빠진듯해요..또륵...그래도 저번주는 -10%였는데 오늘은 2%상승해서 -8%정도네요.
삼성전기 실적은 그래도 전분기 대비 상승했는데요. 우선 매출은 20년도 4분기와 비교해서 14% 상승했구요. 영업이익은 분기대비 31프로 당기순이익은 15% 상승했습니다. 삼성전기 매출 분야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컴포넌트, 모듈, 기판 총3개 중에서 분기대비 모듈의 매출이 49%상승했습니다. 삼성전기는 앞으로의 사업전망도 좋게 보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쌀알인 반도체의 필수소재라서 그런듯한데 장기 전망은 좋겠지만 단기적으로는 그간 큰 상승세를 탔기때문에 한동안 흔들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투하실분들은 상관없는데 단기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장투해야할지도 모르겠네요..
삼성전자는 박스권에 갇혀서 계속 오르내리고 있는데...얘도 한동안 그럴것 같아요. 항간에는 기관들이 동학개미 털어먹을려고 삼성전자 8만원 이하 가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하는데 저도 오늘 비중을 1/5정도로 줄일까 생각중입니다.
삼성SDI는 실적 나온지가 꽤 됐죠?
전분기 대비 매출은 23%상승했고 영업이익은 무려 146프로나 증가했습니다. 화학이라는 날개를 달고 있는 LG화학이 비하면 귀여운 수준이지만 그래도 엄청난 실적을 보여준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에요. 향후 전망도 Q&A를 통해서 애기했는데 폭스바겐의 파워데이에서 발표한 배터리 자체 제작에 대해서는 자체제작까지 시간이 걸리며 자체제작 후에도 케파가 딸리기때문에 2차전지 밴더들은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얘기했습니다. 그리고 각형전지분야에서 삼성SDI의 강점은 간단히 한단어로 효율성이라고 했습니다.
- 중국주식
종목명 | 자산비중(%) | 매입금액 | 평가금액 | 수익율 | 합계 | |
해외주식(중국) | 바이두 | 12.04 | 8,076,041 | 6,873,733 | - 14.89 | |
해외주식(중국) | 융기실리콘자재 | 2.93 | 1,869,633 | 1,675,337 | - 10.39 | |
해외주식(중국) | CLOBAL X CHINA CLEAN ENERGY | 1.31 | 901,125 | 750,880 | - 16.67 | 9,299,950 |
저번주에 주가창을 봤더니 바이두가 많이 내려갔더라구요..이게 60%까지 상승했다가 -14%라는게 사실 믿기지가 않아요.ㅎㅎㅎ 무슨 알트코인도 아니고..ㅋㅋ 2018년도에 알트코인의 공포장에 있었던 경험을 살려서 존버하려구요. 펀더멘탈은 변한게 없는데 빌황색히랑 중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로 시장이 좋지 않은 탓이라 생각해요.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미국이 당분간 긴축할 일은 없고 유동성을 회수 할 것 같지도 않아요. '월가의 영웅 비트코인을 접수한다.' 책을 읽으면서 알게된 건데 2008년도에 넘치는 달러는 중국시장이 받아줬고 2020년도에 넘치는 달러는 비트코인이 받았다고 하네요. 미국에서 긴축을 할 수는 있어도 예전같이 긴축은 할 수 없을거라는 얘기에요. 중국이 기축통화로의 지휘를 노리는 현재 달러를 더 많이 쓰이게 해야하는 상황과 빈부격차가 더 심해지는 와중에 긴축은 힘들거라는 말이죠. 조만간 이 책을 다 읽고 서평을 남길거는 하지만 여러모로 참고할 만한 점이 많은 것 같아요. 하지만 현재 제 중국포트는 너무 기술주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이 강해서 차후 소비재쪽으로 좀 갈아타려구요. 돈투님 말씀대로 중국은 정치리스크가 강하기때문에 정치의 영향을 덜받는 소비재 쪽으로 투자하는게 안전한 것 같아요. 현재는 메이투환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오늘-8%빠졌는데 300만원 이하로 떨어지면 바이두 조금 매도하고 매수해보려구요. 여튼 기업 자체가 변한거는 하나도 없으니 계속 들고 갈 예정입니다.
- 미국주식
종목명 | 자산비중(%) | 매입금액 | 평가금액 | 수익율 | 합계 | |
해외주식(미국) | SOXX(블랙록 반도체 ETF) | 12.44 | 7,233,968 | 7,103,172 | - 1.81 | |
해외주식(미국) | 테슬라 | 13.20 | 7,414,072 | 7,539,957 | 1.70 | |
해외주식(미국) | 팔란티어(PALANTIR) | 4.46 | 3,308,336 | 2,546,980 | - 23.01 | |
해외주식(미국) | BOTZ | 3.36 | 2,002,389 | 1,921,519 | - 4.04 | |
해외주식(미국) | 애플 | 5.11 | 2,809,289 | 2,920,350 | 3.95 | |
해외주식(미국) | ASML | 2.59 | 1,296,514 | 1,477,041 | 13.92 | |
해외주식(미국) | 유니티소프트웨어(U) | 4.39 | 2,903,881 | 2,506,890 | - 13.67 | |
해외주식(미국) | 리얼리티인컴 | 5.35 | 2,825,357 | 3,054,694 | 8.12 | |
해외주식(미국) | 앤디비아 | 5.82 | 2,758,089 | 3,322,091 | 20.45 | |
해외주식(미국) | 스타라시스(SYSS) | 0.35 | 314,101 | 202,357 | - 35.58 | |
해외주식(미국) | 디즈니 | 1.81 | 1,007,346 | 1,036,398 | 2.88 | |
해외주식(미국) | 블랙베리(BB) | 0.37 | 234,231 | 209,208 | - 10.68 | 33,840,657 |
한국인들이 사랑하는 미국주식 탑3에 테슬라, 유니티, 팔란티어 삼대장이 있죠? 저도 한국인인지라 3종목 다 꽤나 큰 금액이 들어가 있어요. 물론 제기준으로 큰금액이죠.ㅎㅎ 근데 최근에 팔라티어랑 유니티가 흘러내리고 있더라구요. 전문가들이 여러가지 이유를 들기는 하는데 이렇다할 확실한 이유는 없어보여요. 셋다 그동안 많이 올랐으니깐 오래 쉬다고 생각해야죠.
팔란티어는 전분기 대비 매출이 60%나 늘었지만 아직도 영업이익은 마이너스인 상황이에요. (다행이 정부에 편중되어 있던 고객들이 기업들로 넓어져서 앞으로 전망이 더 기대되는 기업이에요.) 이런 하락장에서는 실질적인 이익이 없는 회사들은 더 크게 흔들리니깐 어쩔수 없죠..그래도 테슬라는 영업이익이 흑자라서 덜 흔들리는것 처럼 보이지만 상대적이니깐요..
블랙베리는 실저이 진짜 잘 나와도 3분기말이나 4분기부터 기되되는 기업이라서 매달 10만원씩 줍줍하고 분할매수하고 있습니다.
- 기타 주식
종목명 | 자산비중(%) | 매입금액 | 평가금액 | 수익율 | 합계 | |
해외주식(프랑스) | LVMH | 3.02 | 1,436,087 | 1,722,105 | 19.92 | 1,722,105 |
해외주식(인도) | 릴라이언스(RIL) | 3.38 | 1,984,482 | 1,931,723 | - 2.66 | 1,931,723 |
해외주식(대만) | TSMC | 5.51 | 3,313,589 | 3,144,316 | - 5.11 | 3,144,316 |
피터린치 말대로 주변에서 잘팔라리는 기업의 주식을 사라는 말대로 투자를 해서 큰 수익을 내고 있는 LVMHㅎㅎ. 역시 투자의 대가의 말은 바이블처럼 옆에 끼고 살아야 할 것 같아요.
릴라이언스는 요새 인도가 코로나로 장난이 아니잖아요...그래서 영향을 받나봐요.. 올 하반기까지는 힘들어보이지만 그래도 내년 상반기 늦어도 내년 하반기부터는 정리가 되지 않을까요?ㅎㅎㅎ 기업자체는 인도1위기업으로 건재하니깐 불안한 마음은 없습니다.
TSMC는 반도체 상황은 좋지만 최근 반도체 공장을 증설함에 있으서 물부족으로 큰 애로사항이 있다고 하네요. 대만에 짓자니 물이 부족해서 지을수가 없다고 해요. 10나노 이상의 하이테크 반도체 공장들은 전부 대만에 있는데 이제는 대만말고 중국이나 미국으로 지어야 하는데 미중전쟁을 하고 있는 양측에 눈치가 보여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요. 그래서 그런지 주가가 게속 아래로 기어가고 있네요.
- 코인투자현황
종목명 | 자산비중(%) | 매입금액 | 평가금액 | 수익율 | 합계 | |
코인투자총계 | 7,235,536 | 7,235,536 | ||||
비트코인 | 4,871,915 | 4,987,988 | 2.38 | |||
이더리움 | 803,907 | 1,411,047 | 75.52 | |||
클레이튼 | 99,781 | 98,055 | - 1.73 | |||
KSP 스테이킹 | 10개 | 685,000 | 685,000 |
주식시자을 싸고 있는데 다행이 코인시자이 버텨줘서 자산이 그나마 유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더리움이 효자역할을 톡톡히하면서 큰 수익을 안겨줬어요. 이더리움이 50%정도 상승했을때 절반정도를 팔아서 비트코인에 넣었습니다. 좀더 쪼개서 분할매도하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하지만 수익실현한거에 큰의의를 둘구요.
현재 비트코인 도미넌스 차트를 보시면 다들 코인을 쳐다도 안봤을때 수준까지 코인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향후 코인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거나 알트코인 시총을 비트코인이 빨아먹으면서 올라갈거라는 예측이 있는데 2가지 경우 둘다 비트코인을 서서히 매수해 가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코인시장 자체가 떨어진다면 그나마 안전한고 덜빠지는 비트코인이 투자하는게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알트코인 시총을 빨아들이면서 비트코인이 상승한다는 가정에서도 수익을 위해서 비트코인을 미리부터 가지고 있어야 큰수익을 도모할 수 있기때문에 매수해야 하기도 하구요.
그리고 1주전부터 KSP를 클레이스테이션에 스테이킹해서 150%가 넘는 이자를 받고있습니다. 앞으로는 주식에 대한 투자는 최소화 하면서 비트코인과 KSP스테이킹 그리고 블랙베리정도만 소액 분할매수할 예정입니다. 다들 성투하시길 기원하면서 이만 마칠게요.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리포트]CES2020 (0) | 2021.05.12 |
---|---|
[산업리포트]미래신성장사업(미래에셋대우) (0) | 2021.05.12 |
[서평]TSMC반도체제국(이레미디어, 상업주간) (0) | 2021.05.04 |
[서평]소수몽키의 한 권으로 끝내는 미국주식 (0) | 2021.04.30 |
[포트폴리오]21.4.26.기준(기업 실적발표와 가상화폐) (1) | 2021.04.26 |